본문 바로가기
아이들

틀리기 쉬운 맞춤법

by scope 2006. 12. 21.

        인터넷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맞춤법을 바르게 사용하지 않는 것을
           보게 됩니다.

       하긴 필자도 때로는 햇갈립니다!! 그러나 제대로 알고 씁시다,


    아래에 틀리기 쉬운 우리말 맞춤법 6가지를 열거하였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1. 요/오

    “꼭 답장 주십시요.”, “수고하십시요” 이런 말들은
    모두 마지막의 “요”를 “오”로 바꿔 써야 맞습니다.
    반면, “꼭 답장 주세요”, “수고 하세요”에서는 “요”가 맞는데,
    세상만사가 그렇듯이 원리를 따지면 복잡하니 간단히 암기합시다.
    말의 마지막에 “-시요”를 적을 일이 있을 때는 꼭 “-시오”로 바꿔 씁시다.

    2. 데로/대로

    “부탁하는 데로 해 주었다”, “시키는 데로 했을 뿐”은 틀린 말입니다.
    “데로”를 “대로”로 고쳐야 맞습니다.
    그러나 모든 “데로”가 다 틀리는 것은 아닙니다.
    “조용한 데로 가서 얘기하자”의 경우는 “데로”가 맞습니다.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장소를 나타내는, 즉 “곳”으로 바꿔 말이 되는 곳은 “데로”,
    이외의 경우에는 “대로”로 씁니다.

    3. 음/슴

    언젠가부터 모든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뀌었습니다.
    그러자 응용력이 뛰어난 많은 분들이 이 원리를 적용해
    “밥을 먹었음”을 “밥을 먹었슴”으로 쓰기 시작하였습니다.
    실로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사슴”, “가슴”등의 명사 말고 말 끝이 “슴”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으니,
    말 끝을 “음”으로 바꿔 말이 되면 무조건 “음”으로 적읍시다.

    4. 으로/므로

    많이 틀리면서 외우기도 상당히 어려운 고난도 기술입니다.
    어려움이 있더라도 꼭 연마해 두시기 바랍니다.
    일단 맞게 적은 예를 봅시다.
    “부재중이므로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 “때문에”의 뜻일 때는 “므로”
    “편지를 보냄으로 대신한다.” → “-는 것으로”의 뜻일 때는 “ㅁ+으로”

    따라서 “바쁨으로 깜박 잊었다”라든지, “혼잡함으로 후문을 이용해 주십시오”는
    다 “므로”로 바꿔써야 합니다.
    이 둘을 확실히 구별하는 방법은,
    “때문에”로 바꾸어 말이 되는지 보는 것입니다.
    된다면 무조건 “므로”로 적어야 맞습니다.

  • 추가정보 :
    “그러므로” → “그렇기 때문에”
    “그럼으로” → “그러는 것으로”
    “이을 하므로 보람을 느낀다” → “일을 하기 때문에 보람을 느낀다”
    “일을 함으로 보람을 느낀다” → “일을 하는 것으로 보람을 느낀다”

    5. 되다/돼다

    우리말에 “돼다”는 없습니다.
    “돼”는 “되어”를 줄인 말이므로,
    풀어보면 “되어다”가 되므로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반면, “됐다”는 “되었다”이므로 맞는 말입니다.
    흔히 틀리는 경우가 “돼다”, “돼어”등이 있는데,
    감별하는 방법은 일단 “돼”라고 적으려 시도를 하면서,
    “되어”로 바꾸어 보면 됩니다.

    “됐습니다” → “되었습니다”
    “안 돼” -→ “안 되어”
    (늘 줄여놓는 말만 써서 좀 이상해 보이지만 원형 대로 쓰면 이렇습니다.)
    “ㄷ습니다” → “되었습니다”가 말이 되므로 “돼”로 고쳐야 하는 말.
    “다 돼어 갑니다” → “다 되어어 갑니다” ×
    “안 돼어” → “안 되어므로”

    6. 안/않 부정을 나타낼 때 앞에 붙이는 “안”은 “아니”의 줄임말입니다.
  • 따라서 “안 먹다”, “안 졸다”가 맞는 말입니다. 역시 부정을 나타내는 “않”은
  • “아니하-”의 줄임말입니다.이 말은 앞말이 “무엇무엇하지”가 오고, 그 다음에
  • 붙어서 부정을 나태냅니다. “안 보다” → “아니 보다”“안 가다” → “아니 가다”
  • “보지 않다” → “보지 아니하다”“가지 않다” → “가지 아니하다” “않 보다” →
  • “아니하- 보다” ד않 먹다” → “아니하- 먹다” ד뛰지 안다” → “뛰지 아니”
  • ד먹지 안다” → “먹지 아니” × 이것을 외우려면, 부정하고 싶은 말 앞에서는 “안”,
  • 뒤에서는 “않”으로 생각하면 좋습니다

  • 추가

  • 한국어 문법상 / 구분은 / 구분원리와 같습니다.
    하지만 /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누구도 헷갈려하지 않지만
    / 발음이 똑같아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거죠.
    무슨 소리냐구요? 해보면 압니다
    .

    ->

    ->
    바꿔서 생각하면 되는겁니다.

    예제를 풀어봅시다.

    안돼 / 안되 -----------------> 안? ?/SPAN> / 안하 당연히 안해가 맞죠? 따라서 답은 안돼

    안돼나요 / 안되나요 -------> 안해? た?/SPAN> / 안하나요 말할필요도 없죠? 따라서 답은 안되나요

    수밖에 / 수밖에 -----> 수밖에 / 수밖에 수밖에가 맞죠? 답은 수밖에

    됬습니다 / 됐습니다 -------> 핬습니다 / 했습니다 했습니다가 맞죠? ! 역시 답은 됐습니다


    어때요? 쉽죠?

    궁금한 있으면 지금 당장 / 바꿔보세요.